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쿄해양대학

덤프버전 : (♥ 0)

파일:도쿄해양대.png
도쿄해양대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사업단참여대학
BEST Alliance [5]#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히토츠바시.png 히토츠바시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Risk Management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고베 대학 마크.png 고베대학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푸단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Joint Campus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파일:리츠메이칸 대학교 아이콘.png 리츠메이칸대학파일:광동외어대.png 광둥외어외무대학
파일:jun_symbol_logo_basic_color.jpg 리츠메이칸APU
Energy & Environment
Science & Technology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BESETO DDMP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Jus Commune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파일:인민대학.png 중국인민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TKT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파일:Tokyo_Institute_of_Technology.svg.png 도쿄공업대학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ENGAGE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SUAE Asia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파일:퉁지대.png 퉁지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NLIE Project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나가사키대학.png 나가사키대학파일:산둥대학 엠블렘.jpg 산둥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CAMPH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광동제약대 로고.png 광동제약대학
파일:오사카대학 엠블럼.svg 오사카대학파일:수정됨_천진중의약대.png 톈진중의약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
Design Leadership파일:연세미래.png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파일:치바대학 로고.png 치바대학파일:저장대학.png 저장대학파일:Seal_of_King_Mongkut's_University_of_Technology_Thonburi.svg.png 톤부리 킹몽꿋 기술대학교
파일:external/www.lib.shibaura-it.ac.jp/logo.png 시바우라공업대학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KGC Int'l. Co-work
& Joint MFA Project
of Animation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파일:도쿄예대.png 도쿄예술대학파일:Communication_University_of_China_logo.png 중국전매대학파일:180px-Silpakorn_University_Logo_02.png 실파콘대학교
Marine Science
& Technology ERASMUS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파일:도쿄해양대.png 도쿄해양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파일:말라야 대학교 문장.svg.png 말라야대학교
파일:상해해양대학.png 상하이해양대학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파일:Bogor_Agricultural_University_(IPB)_symbol.svg.png 보고르 농과대학교
AFIMA Leaders Program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나가사키대학 로고.jpg 나가사키대학파일:중국해양대학 엠블렘.jpg 중국해양대학파일:1920px-Logo_Rasmi_UMT.png 말레이시아 트랭가누대학교
A³I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야마나시대학 로고.jpg 야마나시대학파일: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 로고.jpg 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파일:UniMAP.svg.png 말레이시아 펄리스대학교
The ACE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rikkyo university logo.png 릿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MGLD[1]
through Asian-Model Dentistry Consortium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호쿠대학 엠블럼.svg 도호쿠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Sichuan_University_logo.png 쓰촨대학파일:471px-UI_Logo.svg.png 인도네시아 대학교
DPP-EPM[2]
Contributing to Solving Global-Scale Issues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파일:쓰쿠바대학 로고.jpg 츠쿠바대학파일:화둥사범대학 로고.png 화둥사범대학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파일:콘캔대학교 로고.png 콘캔 대학교파일:1280px-Institut_Teknologi_Bandung_logo.svg.png 반둥 공과대학교
ICHRDP[3]
in Asia to Foster Inclusive Minds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파일:히로시마대학 로고.png 히로시마대학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파일:Logo_Almamater_UPI.png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
파일:창춘대 로고.jpg 창춘대학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
FHR[4] for C-Zeroization in Asia Countries파일:KMOU_LOGO.png 한국해양대학교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종료된 사업단
Common Good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오카야마대학.png 오카야마대학파일:지린대학.png 지린대학
IGPTE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파일:학예대.png 도쿄학예대학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
Campus Asia CJK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1] Multimodal Global Leaders Development [2] Development Program for Professionals in Educational Policy Management [3] International Collabora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4] Fostering Humans Resources [5] 2023년 기준 복수학위, 교환학생, 교류행사 등 서울대, 히토츠바시, 북경대 3개교 간 적극 진행 중이며 캠퍼스아시아와 별개로 폐지설이 돌았으나 적어도 2025년까지는 변동 사항 없을 예정




東京海洋大学(とうきょうかいようだいがく
도쿄해양대학
Tokyo University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파일:도쿄해양대.png
상징슬로건海を知り、海を守り、海を利用する.
교색
청색(青色)
국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분류파일:고시치노키리.svg 국립대학
개교1875년 미쓰비시상선학교[1]
총장이세키 토시오 (井関 俊夫)
캠퍼스시나가와(品川) 캠퍼스
도쿄도 미나토구 고난
엣추지마(越中島) 캠퍼스
도쿄도 고토구 엣추지마
재학생학부2,048명 (2021)
대학원696명 (2021)
교직원484명 (2021)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캠퍼스
3. 역사
3.1. 도쿄상선대학의 연혁
3.2. 도쿄수산대학의 연혁
4. 조직
4.1. 학부
4.2. 대학원
5. 한국대학과의 교환학생 체결관계
6. 출신 인물
7. 여담



1. 개요[편집]


도쿄해양대학(東京海洋大学)은 도쿄에 있는 국립대학이다. 2003년에 도쿄상선대학(東京商船大學)과 도쿄수산대학(東京水産大學)을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2. 캠퍼스[편집]


  • 시나가와(品川) 캠퍼스 : 대학본부, 해양생명과학부, 해양자원환경학부 캠퍼스
  • 엣추지마(越中島) 캠퍼스 : 해양공학부 캠퍼스


3. 역사[편집]


도쿄상선대학의 기원은 1875년에 이와사키 야타로(미쓰비시 중공업 설립자)가 일본 국책을 따라 설립한 사립 미쓰비시 상선학교이다. 이 학교가 1882년에 관립(국립) 학교가 되어, 1949년에 상선대학으로 발전하였다. 엣추지마(越中島) 캠퍼스에는 1896년으로부터 1945년까지 연습선이었던 '메이지마루'(明治丸)가 보존되어 있다.

도쿄수산대학의 기원은 1888년에 대일본 수산회(大日本水産會)가 설립한 세계 최초의 수산교육기관인 수산전습소(水産伝習所)이다.[2] 이 전습소가 1897년에 관립 수산강습소가 되어, 1949년에 도쿄수산대학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도쿄수산대학이 자리잡고 있던 시나가와(品川) 캠퍼스가 도쿄해양대학의 본부가 되었다.

2003년에 도쿄상선대학(東京商船大學)과 도쿄수산대학(東京水産大學)을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2017년 4월 기존의 해양과학부에 속해있던 '해양환경학과'를 기반으로 '해양자원환경학부'가 설립되었다. 동시에 해양과학부는 '해양생명과학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1. 도쿄상선대학의 연혁[편집]


  • 1875년 : 사립 미쓰비시 상선학교 설립.
  • 1882년 : 관립 학교가 됨. 도쿄상선학교로 개칭.
  • 1925년 : 도쿄고등상선학교로 승격.
  • 1945년 : 세 고등상선학교(도쿄, 고베, 시미즈)를 통합해 고등상선학교 설치.
  • 1949년 : 상선대학(본부: 시미즈 시)으로 승격. 상선학부 설치.
  • 1957년 : 도쿄로 이전. 도쿄상선대학으로 개칭.
  • 2003년 : 도쿄해양대학 해양공학부가 됨.


3.2. 도쿄수산대학의 연혁[편집]


  • 1888년 : 대일본 수산회 수산전습소 설립.
  • 1897년 : 관립 수산강습소로 개칭.
  • 1947년 : 제1수산강습소로 개칭.
  • 1949년 : 도쿄수산대학으로 승격. 수산학부 설치.
  • 2003년 : 도쿄해양대학 해양과학부가 됨.


4. 조직[편집]



4.1. 학부[편집]


  • 해양과학부
    • 해양환경학과
    • 해양생물자원학과
    • 식품생산과학과
    • 해양정책문화학과
  • 해양생명과학부
    • 해양생물자원학과
    • 식품생산과학과
    • 해양정책문화학과
  • 해양공학부
    • 해양시스템공학과
    • 해양전자기계공학과
    • 유통정보공학과
  • 해양자원환경학부
    • 해양환경과학과
    • 해양자원에너지학과


4.2. 대학원[편집]


  • 해양과학기술연구과
    • 해양생명자원과학전공
    • 식기능보전과학전공
    • 해양자원환경과학전공
    • 해양관리정책학전공
    • 해양시스템공학전공
    • 해운로지스틱전공
    • 식품유통안전관리전공
    • 응용생명과학전공(박사과정)
    • 응용환경시스템학전공(박사과정)


5. 한국대학과의 교환학생 체결관계[편집]




6. 출신 인물[편집]




7. 여담[편집]


  • 대학 소재지인 미나토구의 고향납세 제도(단체기부금응원제도(일본어))를 이용하여 대학에 기부할 수 있다. 고향납세 금액의 70%가 해당대학으로 전달된다.[3] 다만 미나토구의 정책상 고향납세의 답례품은 받을 수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7:40:30에 나무위키 도쿄해양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57년 도쿄상선대학
1949년 도쿄수산대학
2003년 도쿄해양대학.
[2] 수산학 자체는 농학교였던 삿포로농학교(현, 홋카이도대학)가 최초로, 실제로 삿포로농학교에서 수산학을 전공한 우치무라 간조는 수산전습소가 설립되자 이 곳에서 수산동물학을 가르쳤다고 한다.[3] 다른 기부처의 예시로 정책연구대학원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이 있다.